휴대폰 배터리 절약 꿀팁
휴대폰 배터리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방법은
휴대폰 배터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 배터리는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저하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 모두
설정 메뉴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를 오랫동안 사용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 하나 " 위치 서비스 변경
스마트폰이 위치를 찾는 동안
계속해서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배터리가
소모되겠죠~
배터리 절약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위치서비스를
"앱을 사용하는 동안"으로
변경하거나 꺼두시는 것이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 설정방법]
핸드폰에 따라 설정하는 방법이 다른데
기본적으로 아이폰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위치서비스
스마트폰의 경우
설정 > 위치 서비스
앱권한을 선택합니다.
옵션이 항상 허용/ 앱사용 중 허용/항상 확인/
허용 안 함으로 되어있습니다.
앱의 상태에 따라 허용상태를 지정해 주세요~
" 둘 " 다크모드 설정하기
다크 모드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밝은 배경에서 어두운 배경으로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이 모드를 사용하면 눈의 피로를
줄이고,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밤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다크모드의 장점으로는
눈의 피로 감소, 배터리절약, 심미적 매력등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밝은 환경에서 가독성 감소,
일부 앱과 웹사이트의 호환성 문제등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라이트 모드와 다크모드가 있는데,
라이트모드가 다크모드보다 배터리 소모량이
2~3배 많습니다.
[ 설정방법]
설정 > 디스플레이 > 다크모드 활성화
" 셋 " 앱 관리하기
1. 앱 업데이트와 동기화 관리
앱을 설치한 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를 동기화할 때도
배터리가 소모됩니다.
앱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꺼두거나
와이파이 연결 시에만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설정하시는 것이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시키는 경우 배터리를 소모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동기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시는 것이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1-1 앱 업데이트 설정
수동 업데이트
- 플레이 스토어 열기: 핸드폰 바탕화면에서 플레이 스토어를 클릭합니다.
- 프로필 선택: 화면 오른쪽 상단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 앱 및 기기 관리: 메뉴에서 '앱 및 기기 관리'를 선택합니다.
- 업데이트 확인: '업데이트 있음'을 클릭하여 업데이트할 앱 목록을 확인합니다.
- 업데이트 실행: 개별 앱 오른쪽에 있는 '업데이트'를 클릭하거나, 상단의 '모두 업데이트'를 클릭하여 모든 앱을 업데이트합니다.
자동 업데이트 설정
- 플레이 스토어 열기: 핸드폰 바탕화면에서 플레이 스토어를 클릭합니다.
- 프로필 선택: 화면 오른쪽 상단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 설정 선택: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네트워크 환경설정: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 자동 업데이트 설정: '앱 자동 업데이트'를 클릭하여 원하는 옵션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Wi-Fi에서만'을 선택하면 Wi-Fi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1-2 데이터 동기화 설정 방법과 동기화 주기 설정방법
1-2-1 데이터 동기화 설정방법
안드로이드 (Android)
- 설정 열기: 홈 화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계정 및 백업: 설정 메뉴에서 '계정 및 백업'을 클릭합니다.
- 계정 관리: '계정'을 클릭하여 동기화하려는 계정을 선택합니다.
- 동기화 옵션: '계정 동기화'를 클릭하여 동기화하려는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이메일, 연락처, 캘린더 등 다양한 항목을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iPhone)
- 설정 열기: 홈 화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Apple ID, iCloud, 미디어 및 구매: 설정 메뉴 상단에서 본인의 이름을 클릭합니다.
- iCloud: 'iCloud'를 클릭합니다.
- 동기화 항목 선택: 동기화하려는 앱과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연락처, 캘린더, 사진 등을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1-2-2 데이터 동기화주기 설정방법
핸드폰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 중인 운영체제(Android 또는 iOS)와 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동기화 주기는 개별 앱의 설정 메뉴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안드로이드 (Android)
- 설정 열기: 홈 화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계정 및 백업: 설정 메뉴에서 '계정 및 백업'을 클릭합니다.
- 계정 관리: '계정'을 클릭하여 동기화하려는 계정을 선택합니다.
- 계정 동기화: '계정 동기화'를 클릭합니다.
- 동기화 설정: 특정 앱을 선택한 후, 해당 앱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앱의 경우 주기적인 동기화 간격을 '5분', '15분', '30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iPhone)
- 설정 열기: 홈 화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Apple ID, iCloud, 미디어 및 구매: 설정 메뉴 상단에서 본인의 이름을 클릭합니다.
- iCloud: 'iCloud'를 클릭합니다.
- 동기화 항목 선택: 동기화하려는 앱을 선택하고, 해당 앱의 동기화 주기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메일 앱의 경우 'Fetch New Data' 설정을 통해 주기적인 동기화 간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앱의 백그라운드 데이터 제한하기/
사용하지 않는 앱 삭제하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은 배터리를 소모합니다.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앱의 백그라운드 활동을 제안합니다.
[ 설정방법]
설정 > 애플리케이션 > 배터리 > 제한 설정
" 넷" 화면 밝기 조절하기
핸드폰 화면의 밝기는
배터리 소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밝기를 낮추거나
자동밝기 기능으로 설정을 하면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 설정방법]
설정 > 디스플레이 > 밝기에서 수동으로 조절
하거나 자동 또는 최적화로 설정합니다.
" 다섯 " 자동잠금 시간은 짧게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화면이
켜진 상태로 유지가 된다면 배터리는 계속
소모되게 됩니다.
자동잠금 시간을 짧게 설정하면 화면이 빨리
꺼지기 때문에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 설정방법]
설정 > 디스플레이 > 화면자동 꺼짐 시간
일반적으로 30초~1분으로 설정하시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여섯 " 불필요한 알림 끄기
앱 알림이 울릴 때마다 배터리가 소모됩니다.
앱의 불필요한 알림을 끄는 것만으로도
배터리를 절약하게 됩니다.
[ 설정방법]
설정 > 알림 > 불필요한 앱 알림 해제
"일곱 " 와이파이 / 블루투스 끄기
와이파이가 켜져 있는 상태로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장소를
이동하는 경우 네트워크나 디바이스를 검색하느라
배터리가 소모되게 됩니다.
지하철이나 버스같이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곳에서
와이파이를 꺼두는 것이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여덟 " 배터리 절약모드 활용하기
핸드폰에는 배터리 절약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기능들이 제한되어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 되게 됩니다.
배터리 잔량이 20% 이하가 되었을 때는
이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설정방법]
설정 > 배터리 > '절전모드' 또는 '배터리 절약 모드'
활성화
이 모드에서는 배경 활동이 제한되고,
화면 밝기가 낮아지며,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아홉" 불필요한 위젯 제거
위젯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배터리를 소모하게 됩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위젯은
홈화면에 제거합니다.
[ 설정방법]
위젯을 길게 눌러 삭제합니다.
위젯을 길게 누른 상태에서 화면 상단의
'삭제' 옵션으로 드래그하거나,
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제거' 아이콘으로 드래그합니다.
'라이프스타일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조사 봉투쓰기 와 경조사 명칭 (1) | 2025.05.04 |
---|---|
카르텔 뜻과 종류 역사_카르텔에 대해 알아봅니다. (3) | 2025.03.18 |
오늘부터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예요. (0) | 2025.01.27 |
크라우드픽 캘린더_스톡사진판매 팁 (0) | 2025.01.26 |
2025년 세금체크_캘린더_자동차세, 부가세,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재산세 (2) | 2024.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