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 아이의 지능..내 아이는 어떤 지능이 뛰어날까요?

by 오카시아 2025. 3. 22.
728x90
반응형

 

 

 

 

 

내 아이는 어떤 지능이…

 

 

아이큐 대신 '다중지능' 관심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에 따르면, 인간의 지능은 단일한 능력으로 정의될 수 없고, 서로 독립적인 8가지 지능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각의 지능과 그 특징입니다.

1. 언어적 지능 (Linguistic Intelligence)

언어와 단어를 잘 다루는 능력으로, 글쓰기, 읽기, 말하기 등에 강점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글을 읽거나 쓰기를 좋아하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합니다.

 

2. 논리-수학적 지능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논리적 사고와 수학적 문제 해결에 능한 지능으로, 과학자나 엔지니어 같은 직업에 적합합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수놀이나 논리적인 패턴 파악하기, 분류하기 등을 좋아하고, 전략적인 게임과 실험을 즐깁니다.

 

3. 공간적 지능 (Spatial Intelligence)

사물을 시각적으로 상상하고, 공간적 관계를 잘 이해하는 능력으로, 건축가, 디자이너, 화가 등에게 중요한 능력입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그림이나 이미지로 생각하기를 좋아하고 그림 그리기, 블록, 퍼즐놀이를 즐깁니다.

 

4. 음악적 지능 (Musical Intelligence)

음악을 이해하고, 연주하거나 작곡하는 능력으로, 리듬과 멜로디에 민감한 사람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5. 신체-운동적 지능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신체를 능숙하게 조작하고 운동 능력이 뛰어난 지능으로, 운동선수, 배우, 무용가에게 필요한 능력입니다.

 

6. 대인관계 지능 (Interpersonal Intelligence)

다른 사람들과 잘 소통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지도자, 상담사, 교사와 같은 직업에서 중요합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감정을 잘 이해하며 의사소통을 잘합니다.

 

7. 개인 내적 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기 자신을 잘 이해하고 감정이나 목표를 관리하는 능력으로, 자기 성찰과 독립적인 사고가 중요한 사람들에게 해당됩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잘 알고, 기분이나 감정의 변화에 민감하며 자신을 잘 통제합니다.

 

8. 자연탐구 지능 (Naturalistic Intelligence)

자연환경과 생명체를 잘 이해하고, 이를 다루는 능력으로, 생물학자, 환경운동가 등에게 중요한 지능입니다.

이 지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자연, 식물, 동물을 관찰하고 비교, 수집하기를 좋아합니다.

 

이 8가지 지능은 모두 고유한 특징과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동일한 비율로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흔히 ‘지능’이라 하면 ‘아이큐’(IQ)를 떠올립니다.

부모님들 대부분은

“머리가 좋은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는

식으로 아이큐가 높은지 안 높은지가

성적과 직결된다고 여겨왔습니다.

하지만 글짓기는 잘 못하지만

수학 문제는 척척 푸는 아이,

수학 문제는 잘 못 풀지만

자신의 감성을

음악으로 잘 표현하는

아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요즘 아이의 적성과 능력을 일찍이 파악하려는

부모님들이 늘어나고 ‘머리 좋음’보다는 ‘창의성’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다중지능이론’이라는 말이 교육과 관련해

많이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이 이론에 기초했다고 홍보하는

교육 상품들이 많이 나오는가 하면,

이 이론에 맞춰 아이들을 교육하고 있다는

기관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다중지능이론

미국 하버드대학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가

아이큐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장한 이론입니다.

 

인간의 지능은 한 가지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여러 가지 지능으로 이뤄져 있다

가드너는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지능이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학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공간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 이해 지능(내면 지능), 자연탐구 지능(자연적 지능) 

8가지 지능으로 이뤄져 있다고 봤습니다. 

 

 각 지능들은 두뇌의 각각 다른 영역을 차지하며

동등하고 독립적으로 작용하면서도

각 지능이 상호보완 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짓습니다.

 

이 다중지능이론은 ‘아이큐’가 간과하고 있는 

다양한 능력을 인정함으로써

다양한 아이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계발하도록 돕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다중지능 이론의 장점 ]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의 장점은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교육 및 자기 계발에 보다 유연하고 포괄적인 접근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장점들입니다:

  1. 개인의 강점 발견 다중지능 이론은 전통적인 IQ나 시험 점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지능 영역을 통해 개인의 강점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맞춤형 학습 가능 학생의 다양한 지능 유형에 맞추어 교육 방식을 개별화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적 지능이 높은 학생은 음악을 활용한 학습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3. 균형 잡힌 성장 유도 모든 지능을 균형 있게 개발하도록 장려함으로써, 편향되지 않은 전인적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4. 개인의 다양성 존중 사람마다 서로 다른 능력과 재능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하여, 특정 영역에서의 약점이 아닌 다양한 재능에 초점을 맞춥니다.
  5. 팀워크와 협업 강화 대인관계 지능이나 자연탐구 지능 등 서로 다른 지능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협력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을 결합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6.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 다중지능 이론은 단순히 학업에 국한되지 않고 직업 선택, 취미 개발, 인간관계 등 삶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응용이 가능합니다.
  7. 개인의 자존감 향상 자신이 특정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음으로써, 자존감과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중지능 이론은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내 자녀는 어떤 지능이 뛰어날까’ 하고

궁금해하는 부모님이시라면

상품을 팔려는 ‘홍보논리’에 휩싸이지 말고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녀에 대한

관심 있는 관찰이 우선이라는 것입니다.

 

가령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가 무엇인지,

어떤 놀잇감을 잘 갖고 노는지를 잘 살피면

어떤 지능이 강하고

어떤 지능이 상대적으로 약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